top of page
KIM
SEO
YEON

<Golden Hour, Nuance1>, 2024, oil on wood, 25.5x36.6cm
두 권의 책이 서로를 마주본다. 아니, 서로를 안는다. 두 권의 책이 억지로 묶이거나 붙지 않고, 서로를 안는 데까지 얼마나 오랜 시간이 필요했을까. 페이지를 한 장 한 장 넘기는 인내의 손길만이 그 시간을 알았을 테다. 글 윤형신 《이사전》2025

‹Over the Sadness› Series2, 2025, cotton, old clothes, bead and pearl thread, clay, 193x17x6cm


‹Over the Sadness› Series1, 2025, cotton, old clothes, bead and pearl thread, clay, 193x17x6cm

‹Like a faith› 2025, oil on wood, 29.7x20.9cm

‹Guardian or Lock› 2025, oil on clay and canvas, 23x23x4cm

‹Turn it over refreshing› 2025, oil on wood, 33.3x24.2cm

‹Meraki-Chimera› Series1, 2023, acrylic and oil on canvas, 193.9x97cm

‹Meraki-Chimera› Series2, 2023, acrylic and oil on canvas, 193.9x97cm


‹Mama, Grandma's baby Girl› 2025, oil on canvas, 34.7x24.7cm
김서연은 사랑과 슬픔, 절망과 희망, 찰나와 영원 같은 양립되는 상태나 감정을 하나의 화면 안에 겹쳐 본다. 그는 개별적 대상과 공간을 접붙여 만든 가상의 풍경이 아니라, 현실의 한 부분을 확장해 바라보고 그에 깃든 다양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하는 도구로서 작업을 대한다. <Mama, Grandma‘s baby Girl>(2025), <메라키메라>(2023)에서처럼 작업에서 종종 등장하곤 하는 종교적 도상은 범접할 수 없는 초월적인 신성성 대신 삶 속에 잔존하는 순수함이나, 상대에게서 나에게로, 혹은 그 반대로 전해지는 무해하고 무조건적인 사랑을 상징한다. 삶이 있기에 우리는 이 모든 것을 경험할 수 있는 한편, 같은 이유로 언젠가는 이들을 떠나보내야만 한다. 유한한 시간의 굴레에 저항하며, 때로는 순응하며, 작가는 화면 내부에서 시간을 새롭게 구조화한다. 그에게 그리기란 쓰는 행위와도 같아서, 물감을 쌓고 문지르고 벗겨내는 모든 과정은 그 자체로 비동질적인 서사의 직조로 이어진다. 지난한 쓰기가 종료된 후 눈앞에는 하나의 이미지가 남는다. 이는 눈에 잘 띄지 않을 뿐 현실과 늘 공존해 온, 시적 차원이라 부를만한 것이다. 글 임현영 《개 꼬리 무덤》2025 서문 중

‹How do I love thee?›, 2023,

‹How do I love thee?›, 2023, acrylic and oil on canvas, 33.6x23.9cm

‹영원회귀 정수리›, 2023, acrylic on canvas, 25.7x17.7cm
‹건강한 의자›, 2022, acrylic on canvas, 41x26.5cm

‹Mercy, Love, Barbarism›, 2019, acrylic and oil on canvas, 90x90cm

‹외워요›, 2023, acrylic and oil

<Golden Hour>, 2024, oil on wood, 17.8x25.7cm

‹Flag› detail, 2022, cotton, old clothes, bead and pearl thread, 40.7x27.4cm
사진 유영공간

‹Flag›, 2022, cotton, old clothes, bead and pearl thread, 40.7x27.4cm
사진 유영공간

‹Stranger›, 2023, cotton, old clothes, bead and pearl thread, 73x9cm

<The Overflowing Cocktail of Rice>, 2023, pencil on paper, 6.2x3.4cm

‹Overflowing Heap of Rice›, 2023, pencil on paper, 86.5x99cm

‹겨울에 그리고 밤에 일어난 아이›, 2022, rake on acrylic, bond, 17x15cm
사진 유영공간

‹Homework› Series1, 2023, rake on acrylic, wood, clay, 4.9x7.9x1.7cm


<마음을 맑게 더 맑게> series1, 2023, charcoal on paper, 23.6x17.7cm

<마음을 맑게 더 맑게> series2, 2023, charcoal on paper, 23.6x17.7cm

<그림입니다>, 2022, oil on paper, 56x42cm

‹약›, 2023, pencil on paper, 37.6x26.5cm

Mama’s paste, 2018, oil on canvas, 30x30cm

<이빨>, 2021, acrylic on paper, 7x13.5 cm

<잠>, 2021, oil on paper, 39.5x41.5cm

<건강한 의자>, 2022, acrylic on paper, 33.1x21cm

‹card of mug›, 2022, oil on canvas, 26.7x40.8cm

<달팽이 줄넘기>, 2022, acrylic on paper

‹rest time›, 2023, acrylic and oil on canvas, 27.7x22cm

‹I’m always here, If you need me.›, 2023, acrylic and oil on paper, 41x27cm

‹^^›, 2022, acrylic and oil on canvas, 30x30cm

2023

‹carve›, 2023, acrylic and oil on canvas, 27x41cm

world of best

no surprises

as you are

‹찌부›, 2020, acrylic and oil on paper, 42x56cm

‹우스운 일› series3, 2018, oil on canvas, 56x42cm

‹우스운 일› series4, 2018, oil on canvas, 56x42cm

‹우스운 일› series1, 2018, oil on canvas, 30x30cm

‹우스운 일› series1, 2018, oil on canvas, 30x30cm

‹우스운 일› series6, 2018, oil on canvas, 53x45.5cm

‹우스운 일› series7, 2018, oil on canvas, 30x30cm


bottom of page